바쁘실텐데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알마니안과 칼 바르트의 신학의 차이점과 구원관의 차이점이 뭔지 확실히 몰라서요..
아르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천천히 답 주셔도 괜찮습니다.
댓글 7
-
Richard
2015.06.10 10:14
-
cris
2015.06.10 22:16
감사합니다^^ -
Richard
2015.06.23 08:54
우선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질문 자체가 광범위하고, 잘못하면 신학적 논쟁의 소지가 있는 질문입니다.
즉, 개혁교회가 인정치 않는 두 신학적으로 비교 질문이라 논쟁의 가능성 등, 고려할 점이 많습니다.
이 코너의 본래의 취지는
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신 분이 위주가 아니라, 일반 성도들에게 쉽게 교리를 이해하시라고 질문을 통한 BiBle Study Corner 로서 개설한 것입니다. 신학교의 웹사이트가 아니라 전세계 성도들에게 개방되고 있는 한 교회의 사이트이기 때문입니다.
어떠한 질문도 좋습니다만, 논쟁의 소지가 있고 이 문제로 계속적으로 논쟁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는
신학적 질문과 답변은, 그것도 CRC에서 인정치 않는 신학들이라 직접 개인적으로 진행함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100% 진행됩니다.
금주 안으로 다음과 같은 범위에서 담임 목사님의 답장(해설)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 e-mail을 통해서 답을 드릴지 이 사이트에서 open to public으로 갈 지는 검토 중입니다.)
1. 알미니안과 칼 바르트의 신학 차이점
2. 알미니안과 칼 바르트의 구원관 차이점
---
질문에 감사 드립니다.
-
성베드로스님
2015.06.24 10:42
우리가 흔히 알메니안 주의라고 하는 알메니우스파의 시조격인 알메니우스(Jacobus Arminius)는 종교 개혁의 중요한 본산지인
화란 출신의 신학자였지만 예정론을 반대하여 인간은 자유의지로 성령의 역사를 저항할 수 있고, 하나님의 은혜를 거부할 수도 있다는
'보편 속죄론'과 '신인 협동설'을 주장했다.
더구나 그의 사망 후에 그를 추종하던 제자 시몬 에피스코피우스는
부분 타락
조건적 선택
보편 속죄
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구원 박탈
등을 포함한 5개 항의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 5개 항의 발표는 이후 1611년 화란의 개혁자들이 TULIP으로 역공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후 알메니안 주의자들과 개혁주의자들 사이에 논쟁이 계속되었고 급기야 화란 정부에서 1618년 도르트 회의를 열었는데
유럽 각국의 신학자들이 무려 153차에 걸친 회의 끝에 알메니안 주의를 이단으로 정죄하고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을 밝혔다., 즉
완전 타락 ( Total Depravity )
무조건적 선택 ( Unconditional Election )
제한 속죄 ( Limoited Atonment )
불가항력적 은혜 ( Irresistible Grace )
성도의 견인 ( Perseverance of the Saints )
등의 다섯 개혁주의 교리의 영문 첫 글자를 딴 ' TULIP'이 탄생하게 되었고, 이후 미국으로 건너 온 화란의 개혁주의자들이 정착하여 세운
미시간 주의 Grand Rapids City '캘빈 신학교'를 토대로 한 ' CRC 교단 '이 바로 우리 남가주 서머나 교회의 신앙적 뿌리인 것이다.
질문하신 것 중 두번째 사람인 칼 바르트는 계몽주의와 인본주의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본산이었던 독일에서
태어나고 공부했던 신학자였는데 우리가 흔히 신정통주의라고 알고있는 학자이다.
한국에서도 자유주의 신학자라고 평가를 받고 있는 학자지만 '신정통주의'라는 의미와 같이 그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서 탈피하여
1919년 그의 방대한 '로마서 주석'에서 당시 자유주의 신학에 대 반격을 가했다.
우리 서머나 교회의 이전 로마서 설교에서도 수 차례 바르트의 신학을 내용 비평 없이 자유주의의 편으로 평가한 면이 있지만 그를
완전한 자유주의 신학자로 보는 것은 무리이다.
오히려 당시 자유주의 신학자들에 의해 훼손된 성경의 권위를 회복하여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정한 개혁주의 신학자이며,
그가 쓴 '교회 교의학'은 20세기 최고의 고전이며 그를 20세기 대표적 개혁주의자로 평가한다.
특히 그는 Westminster 신학교를 설립한 주역인, 자유주의로 오염되기 이전의 Princeton 신학교 출신인 Machen 교수에 의해서
자유주의 신학자로 분류된 것이 결정적으로 그의 신학적 성향의 평가 기준이 되었다.
김복진 목사님의 말씀처럼 저명한 신학자의 신학 사상, 그 중에서도 구원론을 논한다는 것은 너무나 방대하며 소모적 신학적 논쟁을
불러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이드를 받아서 스스로 공부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예전의 김성수 목사도 로마서 강해에서 말년의 칼 바르트가 서재의 모든 신학 서적을 치워버리고 성경 한 권만 남겨 놓았다고 한 말처럼
특정인의 설교, 특정인의 신학이 성도의 신앙을 좌우하지 않아야 한다.
Sola Fide (오직 믿음) Sola Gratia (오직 은혜) Sola Scriptura (오직 성경)
종교개혁 당시의 세 가지 표어처럼 결국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인 것이다.
-
cris
2015.06.25 22:30
김복진 목사님께서 답을 주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 김태완 성도께서 주셨네요.
음.. 저는 둘 사이의 구원관과 신학의 차이점을 알고 싶은 거지 신학적 논쟁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데요..
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은 목사님이 직접 주시는 것이 아닌가요?
그리고 위의 5 Sola 중 Solus Christus(오직 예수), Soli Deo Gloria(오직 하나님께 영광)이 빠졌네요. 뭐 다 아시겠지만.. ^^
목사님께서 답을 주시기를 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성베드로스님
2015.06.26 05:52
죄송합니다, 집사님.
저는 질문에 답한게 아니라 그냥 댓글을 단 것
뿐인데.. 저는 질문에 대한 답은 모릅니다.
목사님께서 Q&A로 답하기엔 너무나 많은 분량이라고 말씀하시길래 저 나름대로 간략한
배경 설명만 해 드린거죠.
Q&A에서는 누구나 질문을 하고 누구나 댓글을
올릴수 있기를 바랍니다.
지금 시카고 덥죠?
제 딸도 거기 공부하고 있어서 덥거나 추우면
걱정됩니다. 돌아와서 뵈겠습니다.
채집사님, 신집사님이 보고싶어 하십니다. -
cris
2015.06.26 09:04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여기 날씨는 아직은 좋은 거 같습니다.
글고 두 분만 보고 싶어하시는 군요..
그럼 두 분 빼고는.. 별로?
기억하고 있겠습니다..
첫 질문에 큰 감사를 드립니다.
죄송하게도 금일, 목사님께 전달되었습니다.
답변을 받는 즉시 Uploading 하겠습니다.